본문 바로가기
아시아/인도네시아

반둥_땅꾸반 쁘라후(Tangkuban Perahu) 화산

by Nagnes 2023. 1. 30.
반응형

 

자카르타에서 2시간 30분 거리에 있는 반둥은 연평균 기온 22℃의 시원하고 쾌적한 기후 때문에 '자바의 파리'로 불렸다. 과거 네덜란드 식민지 때부터 유럽인들의 휴양지로 사랑받던 곳인데, 지금도 자카르타 시민들의 주말 휴양지로 인기가 높은 곳이다.

 

COVID-19 이전, 금요일 저녁부터 토요일까지 반둥 방향, 일요일 오후에는 자카르타 방향으로 극심한 교통정체가 있었다. 지금도 차량통행이 많지만 브까시에서 까라왕 사이의 고가 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 그때보다는 교통 정체가 훨씬 덜 해졌다.

 

토요일 아침 일찍, 우리는 땅꾸반 쁘라우 화산을 구경하기 위해 반둥으로 향했다.  

 

 

 

 

반둥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 땅꾸반 쁘라후(Tangkuban Perahu) 화산은 반둥 시내에서 차량으로 약 1시간 거리의 반둥 북쪽 렘방(Lembang) 산지에 있다. 선사시대에 큰 화산 폭발로 생겨난 땅꾸반 쁘라후 화산은 1829년부터 1926년까지 4차례 걸쳐 대폭발이 있었다고 한다. 산 정상까지 높이는 해발 2096m이며, 관광객들이 화산 분화구를 구경할 수 있는 전망대는 해발 1830m 높이에 있다. 전망대까지는 차량, 오토바이로 이동이 가능하다.

 

 

 

 

반둥의 한식당 맛집인 '청기와'에서 짬뽕과 자장면으로 점심 식사를 했다. 잔뜩 찌푸린 반둥의 흐린 날씨가 스산하게 느껴졌던 터라 짬뽕 국물과 맥주 한 잔은 반둥에 오래 사신 선배님의 적절한 메뉴 선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처음 만난 선배님과의 사이를 짧은 시간에 가까워지게 했다.

 

식당을 출발한 지 약 10여 분 후, 안내를 해주시던 선배님이 후배들을 만난다는 반가운 마음에 오늘이 토요일이라는 생각을 못하셨다고 했다. 도심을 채 빠져나가기도 전에 반둥 시내는 이미 극심한 교통 정체가 시작되고 있었다.

 

 

 

 

비가 내리는 산 능선을 굽이굽이 돌아 언덕길을 오르락내리락하는 차량 행렬은 끝없이 이어졌다. 언덕 위에 비를 맞고 있는 집들은 비탈진 경사에 간신히 버티고 있는 듯했다. 금방이라도 산사태와 함께 무너져 내릴 것 같은 생각도 들었다. 화산을 머리에 이고 사는 사람들에게  나의 이런 기우는 무의미한 것이겠지만 나도 모르게 자꾸 마음이 쓰였다.

 

반둥은 자카르타보다 작은 규모는 도시지만 교통정체는 매 한 가지였다. 인도네시아의 전반적인 SOC 기반 부족에 끊임없이 늘어나는 인구 증가 속도가 교통 체증을 가중시키는 듯했다. 선배님과 운전기사가 몇 마디 얘기를 주고받은 후 차는 빨간 차 후미등이 길게 이어진 도로를 벗어나 곧장 샛길로 빠져나갔다. 다행히 샛길에는 차들이 많지 않았고 축지법이라도 쓴 것처럼 순식간에 구글맵의 도착 예정 시간을 단축시켰다.

 

목적지의 중간쯤에 도착했을 때, 차창밖 멀리 산능선 위로 천둥번개를 동반한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비를 흩뿌리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의 전형적인 우기 날씨이긴 했지만 초행길에 달갑지 않은 손님이었다. 우리 일행이 타고 있는 차는 빗속에서 거북이걸음을 해야 했고, 그나마 단축되었던 도착 예정 시간은 다시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했다. 비가 더 굵게 쏟아지면서 교통정체도 더 심해졌다.

 

비로 인해 우리는 땅쿠반 쁘라후 화산 국립공원 매표소까지 입장 시간 내에 도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선배님의 마음이 급해지신 것 같았다. 큰길에서 다시 지름길로 방향을 바꾸었다. 오히려 산 정상으로 향하는 좁은 산길에서 차가 한번 막히면 옴짝달싹 할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다른 대안도 없었다. 다른 대안이 없었다. 외통수에 걸린 것이다.

 

지름길을 따라 달리는 동안 차 안은 침묵이 이어졌고, 땅꾸반 쁘라후 화산 국립공원 입구 매표소에 도착할 때까지 숨소리도 들리지 않는 듯했다. 중간중간 마음속으로 걱정은 했지만 이곳까지 와서 선배님에게 차를 돌리자고 말할 수도 없었고, 빠져나갈 수 없는 외길을 달리면서 운전기사를 재촉할 수도 없었다. 구글맵의 아슬아슬한 도착 시간, 모든 것을 운에 맡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잠시 주춤하던 비가 땅꾸반 쁘라후(Tangkuban Perahu) 국립공원 매표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내리기 시작했고, 선배님의 말씀처럼 창밖에는 유황 냄새가 조금씩 나기 시작했다. 멀리 눈앞에 보이는 국립공원 입구를 보면서 발을 동동 굴렸다. 우리는 매표소가 문을 닫기 1분 전에 기적적으로 도착해서 무사히 공원 안으로 입장할 수 있었다. 모두가 박수를 치며 환호를 올렸고, 선배님은 후배들이 운이 좋은 사람들이라며 안도의 한숨과 함께 밝고 크게 웃으셨다.

 

땅꾸반 쁘라후 화산은 오후 4시 전까지 입장이 가능하며, 오후 5시까지 퇴장을 해야 한다. 

 

 

 

 

 

네 사람 모두 인도네시아 거주 신분증이 있어서 1인당 30,000루피아 + 주차요금 5,000루피아를 지불했다. 인도네시아의 주요 관광지의 입장료는 내국인과 외국인 요금차이가 크게 나는데, 어떤 곳은 10배에 이르기도 한다. 그래서 주요 관광지를 방문할 때는 반드시 거주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끼따스, 운전면허증 등)을 지참해야 한다. 

 

 

 

 

 

땅쿠반 쁘라후(Tangkuban Perahu)는 순다어로 '뒤집어진 배'라고 한다. 

 

화산 분화구에 도착하니 짙은 유황 냄새가 강하게 코끝을 자극헀다. 다행히 우리가 도착한 시간에는 비바람이 제법 불어서 평소보다는 유황냄새가 덜 나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예전에는 분화구에서 '쿠르릉~~' 거리는 소리도 났다고 하는데, 오늘은 그런 소리를 들을 수 었었다. 더구나 바람소리에 묻혀 그 어떤 소리도 크게 들리지 않았다. 분화구 가까이에 가서 사진을 찍고 있었는데, 기념품 판매를 위해 호객행위를 하는 현지 상인들의 한국어 소리만 크게 들려왔다.

 

"안녕하세요?", "이거 좋아요" "사세요" 

 

 

 

화산 분화구 주변에는 원주민들의 판잣집이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그들은 관광객들을 상대로 기념품을 팔고, 숙박과 음식점을 운영하면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한편 이곳이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초등학교를 다닌곳이라는 얘기가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데, 오기 전에 확인해 본 결과로는 사실과 다르다. 그의 어머니가 인도네시아인과 재혼 후 인도네시아로 이사를 온 것은 사실이지만 반둥이 아닌 자카르타의 부촌인 멘텡지역의 '멘텡 초등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2008년 버락 오바마가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되었을 때 인도네시아인들은 모두 그의 대통령 당선을 바랐으며, 인도네시아와의 관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기대했었다고 한다.

 

 

가운데 밝은 호수가 가장 최근(2020년 가을)에 분화하면서 새로 형성되었다. 평상시 이곳은 구름에 가려 분화구 전체를 조망하기 어렵다고 한다. 비록 비가 내리는 흐린 날씨였지만 분화구 전체를 보게 된 것은 정말 큰 행운이라고 했다.

 

 

모터사이클 모임에서 단체로 화산 분화구를 찾은 듯했다. 인도네시아인들은 오토바이를 이용해서 가지 못하는 곳이 없고, 하지 못하는 일이 없는 것 같았다. 땅쿠반 쁘라후 인근에서 오토바이를 이용해 벌목한 나무를 나르는 사람들을 TV를 통해서 본 적이 있다. 

 

 

땅꾸반 쁘라후를 구경하고 내려오면서 차창을 내리니, 반둥 시내 방향으로 구름과 안개가 한 폭의 산수화를 그리고 있었다. 순간 우리가 있는 위치의 해발 높이를 가늠하기 어려웠다. 그냥 아주 높은 곳에 올라온 기분이 들었다. 한편으로는 화산 분화구를 뒤쪽에 두고 산아래를 내려다보고 있자니 묘한 긴장감도 들었다. 저 구름 속 어딘가에 또 다른 활화산 분화구가 감춰져 있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운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화산 정상에서 조금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도마스(domas) 분화구가 있다. 섭씨 100도의 펄펄 끓는 물에 달걀을 삶아서 판매한다고 하는데, 우리는 시간이 부족해서 가보지 못했다. 그리고 화산 온천수에 발을 담글 수 있다고 한다. 생각만 해도 온몸이 개운해지는 기분이 들었지만 우리의 운은 여기까지였다.

 

악천후를 뚫고 분화구까지 안내해 주신 선배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Tangkuban Perahu(땅쿠반 쁘라후) 화산 여행은 가능하면 평일에 하는 것이 좋다. 도마스 분화구에서 온천욕을 즐기는 것도 기억에 남을 추억이 될 것 같다.(수영복, 수건 등 준비) 화산에서 조금 더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인근에 엄청난 규모의 차밭과 가볼 만한 레스토랑, 카페 등이 있으며, 산을 내려오는 길에 만나는 저녁노을도 환상적이다.

반응형

'아시아 > 인도네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리(Bali)_누사두아 해변(Nusa Dua Beach)  (0) 2023.05.16
Borobudur(보로부두르) 일출  (0) 2022.12.28
족자카르타(Yogyakarta)  (2) 2022.11.23

댓글